장내 미생물 불균형 (Dysbiosis)
정의
Dysbiosis는 불균형한 또는 손상된 미생물 상태를 일컫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다양한 신체부위에서 미생물들이 건강한 생태계를 이루고 숙주와 공생하며 살고 있으며, 이러한 생태계의 혼란은 장기적으로 다양한 질병을 촉발하게 된다. 현대 사회의 다양한 만성 질환들이 사람과 공생하고 있는 미생물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를 설명하기 위해 Dysbiosis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여러 문맥에서 조금씩 다른 범위와 의미로 사용되면서 용어 사용에 혼란이 있다. 특히 연구 초기에 장내미생물 손상이 가장 심각한 IBD와 C.difficile infection와 같은 질병에서 해당 용어의 사용과 지수화가 가장 활발하였고, 여러 논문에서 장내미생물 구성으로부터 IBD를 예측하기 위한 지수를 Dysbiosis Index라 명명하여 사용하고 있다.1–3
Dysbiosis라는 용어는 이러한 심각한 장내미생물 불균형뿐만 아니라 비만, 당뇨 등의 대사증후군, 알러지 등의 과민성 면역질환과 같은 만성적이고 장기적인 질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면서, 다양한 질병과 관련된 미생물 상태를 일컫는 용어가 되었다.
한국어 번역으로는 불균형이라는 단어가 차용되었고, 이는 장내미생물뿐만 아니라 여러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단어이기 때문에 더욱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천랩에서는 IBD를 예측을 위한 Dysbiosis index가 시민과학리포트에서 불균형지수 또는 균형지수라는 단어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고, 동시에 건강한 장내미생물 상태와 식습관, 생활습관을 수식하기 위한 단어로 균형과 불균형이란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천랩의 건강검진리포트에서는 이러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Dysbiosis index를 직역하는 대신에 유해한 미생물 지수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며, 장내미생물 건강을 요약하기 위한 지수는 종합점수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균형이라는 단어는 다양한 문맥에서 balanced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 혼란을 피하기 위해 용어 사용에 있어서 의견 일치가 필요하다. 우선 Dysbiosis라는 개념의 정의와 범위를 정해야 한다. 또한 이를 측정하기 위한 천랩의 지수는 위 개념과 구분되어 명명 되어야 한다. 그리고 위 개념의 적절한 한국어 번역은 무엇인지, 균형이라는 한국어 단어를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 분명히 하고 함께 올바른 문맥에서 사용해야 한다.
천랩은 Dysbiosis의 범위를 최대한 확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Dysbiosis란 건강한 또는 일반적인 숙주의 장내미생물 생태계 (host microbiota)에서 멀어진 상태를
지칭하며 결과적으로 숙주의 질병 (IBD, 대사질환, 면역질환, 정신질환 등 다양한 범위의 질병) 또는 기능의 결함 (면역 또는 대변 습관의 결함 등)을 야기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반대되는 용어는 healthy 또는 normal microbiota에 해당한다. 문헌들에서 homeostasis, eubiosis, 그리고 normobiosis와 같은 용어들도 제시되었지만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Dysbiosis는 거대한 범위의 미생물 생태계 불균형을 지칭하는 개념적 용어이며, 특정 질병 하나 또는 지수 하나를 일대일 지칭하기 위해 해당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한다.
Dysbiosis는 한글로는 ‘불균형’, ‘장내미생물 불균형’, ‘디스바이오시스’ 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의미의 전달을 위해서는 ‘장내미생물 생태계 불균형’ 또는
‘마이크로바이옴(마이크로바이오타) 불균형’ 등으로 풀어 설명해야 한다. 이와 반대되는 상태는 영문 직역으로는 ‘건강한’ 또는 ‘일반적인’ 이라는 수식을 사용하지만, 한국어에서 ‘균형’이라는 단어도 해당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특징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불균형하면 주요 미생물 수가 줄어들고 유해균이 늘어난다4. 유해균의 생물막을 구성하는 단백질(예, 플라젤린, LPS, 프로필린 등)은 장내 면역 세포를 자극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예, IL-18, IL-12, TNF-α 등)의 분비를 유도한다. 또한 유해균이 생성하는 독소는 DNA를 절단하고, 장내 상피세포를 손상시킨다5–8. 따라서 장내 불균형은 장내 염증을 유발하고 장 점막층을 약화시킨다9. 장 점막층의 약화가 지속되면 장 누수 증후군이 발생되며10, 혈관을 통해 장내 미생물과 염증 유도 물질이 다른 장기로 전이(translocation)된다. 이러한 전이는 패혈증을 비롯하여 대사질환, 뇌 질환, 간 질환, 자가면역질환,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References
- 1.AlShawaqfeh M, Wajid B, Minamoto Y, et al. A dysbiosis index to assess microbial changes in fecal samples of dogs with chronic inflammatory enteropathy. FEMS Microbiology Ecology. October 2017. doi:10.1093/femsec/fix136
- 2.Farup P, Valeur J. Faecal Microbial Markers and Psychobiological Disorders in Subjects with Morbid Obesity. A Cross-Sectional Study. Behavioral Sciences. September 2018:89. doi:10.3390/bs8100089
- 3.Xia G-H, You C, Gao X-X, et al. Stroke Dysbiosis Index (SDI) in Gut Microbiome Are Associated With Brain Injury and Prognosis of Stroke. Front Neurol. April 2019. doi:10.3389/fneur.2019.00397
- 4.Petersen C, Round JL. Defining dysbiosis and its influence on host immunity and disease. Cell Microbiol. June 2014:1024-1033. doi:10.1111/cmi.12308
- 5.Chung L, Thiele Orberg E, Geis AL, et al. Bacteroides fragilis Toxin Coordinates a Pro-carcinogenic Inflammatory Cascade via Targeting of Colonic Epithelial Cells. Cell Host & Microbe. February 2018:203-214.e5. doi:10.1016/j.chom.2018.01.007
- 6.Yu T, Guo F, Yu Y, et al. Fusobacterium nucleatum Promotes Chemoresistance to Colorectal Cancer by Modulating Autophagy. Cell. July 2017:548-563.e16. doi:10.1016/j.cell.2017.07.008
- 7.Wong SH, Yu J. Gut microbiota in colorectal cancer: mechanisms of action and clinical applications.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September 2019:690-704. doi:10.1038/s41575-019-0209-8
- 8.Li Z-R, Li J, Cai W, et al. Macrocyclic colibactin induces DNA double-strand breaks via copper-mediated oxidative cleavage. Nat Chem. September 2019:880-889. doi:10.1038/s41557-019-0317-7
- 9.Makki K, Deehan EC, Walter J, Bäckhed F. The Impact of Dietary Fiber on Gut Microbiota in Host Health and Disease. Cell Host & Microbe. June 2018:705-715. doi:10.1016/j.chom.2018.05.012
- 10.Sonnenburg ED, Sonnenburg JL. Starving our Microbial Self: The Deleterious Consequences of a Diet Deficient in Microbiota-Accessible Carbohydrates. Cell Metabolism. November 2014:779-786. doi:10.1016/j.cmet.2014.07.003